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8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경상남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8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
2. 선거 결과
2.1. 경상남도 제1선거구 (마산시)
2.2. 경상남도 제2선거구 (진주시·진양군)
2.3. 경상남도 제3선거구 (충무시·통영군)
2.4. 경상남도 제4선거구 (고성군)
2.5. 경상남도 제5선거구 (거제군)
2.6. 경상남도 제6선거구 (진해시·창원군)
2.7. 경상남도 제7선거구 (사천군·삼천포시)
2.8. 경상남도 제8선거구 (하동군)
2.9. 경상남도 제9선거구 (함안군·의령군)
2.10. 경상남도 제10선거구 (창녕군)
2.11. 경상남도 제11선거구 (산청군)
2.12. 경상남도 제12선거구 (합천군)
2.13. 경상남도 제13선거구 (밀양군)
2.14. 경상남도 제14선거구 (양산군·동래군)
2.15. 경상남도 제15선거구 (울산시·울주군)
2.16. 경상남도 제16선거구 (김해군)
2.17. 경상남도 제17선거구 (남해군)
2.18. 경상남도 제18선거구 (거창군·함양군)


1. 개요[편집]


항목제8대 국회의원 선거경상남도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2. 선거 결과[편집]



2.1. 경상남도 제1선거구 (마산시)[편집]


경상남도 제1선거구
마산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경환(朴慶奐)23,4582위

ta-hash-start=w-a962a696f2d82cff7b5425a562468a46[[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34.22%낙선
2황은환(黃銀煥)25,4291위

ta-hash-start=w-149d83db8fb6cc95af9928a4fa202394[[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37.10%당선
3강선규(姜善圭)2,1894위

ta-hash-start=w-043ea4eb48d314b91e95fb5052d3d8f0[[파일:국민당(1971년) 흰색 로고타입.svg
3.19%낙선
5한태일(韓泰日)16,7793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24.48%낙선
6황길웅(黃吉雄)6795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99%낙선
선거인 수93,573투표율
67.34%
투표 수69,885
무효표 수1,351

2.2. 경상남도 제2선거구 (진주시·진양군)[편집]


경상남도 제2선거구
진주시·진양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구태회(具泰會)45,9531위

ta-hash-start=w-c23a8ece2c942f12d2f3f2f66a0ac0bc[[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53.17%당선
2박영식(朴榮植)40,4622위

ta-hash-start=w-367ac971f08b41f2fe1248a63e28e837[[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46.82%낙선
선거인 수117,908투표율
75.54%
투표 수91,126
무효표 수4,711

2.3. 경상남도 제3선거구 (충무시·통영군)[편집]


경상남도 제3선거구
충무시·통영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종길(金鍾吉)23,4942위

ta-hash-start=w-eddea82ad2755b24c4e168c5fc2ebd40[[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45.82%낙선
2김기섭(金玘燮)27,4681위

ta-hash-start=w-3bdee0b802d4d4fa428a12bf49fd8b75[[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53.57%당선
5구성수(具聖守)3103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0.60%낙선
선거인 수67,164투표율
77.34%
투표 수53,236
무효표 수1,964

2.4. 경상남도 제4선거구 (고성군)[편집]


경상남도 제4선거구
경남 고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재구(崔載九)23,7301위

ta-hash-start=w-5a87c42972dfb55ff9cdb144a3ba5cc3[[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49.38%당선
2김수명(金水明)18,2732위

ta-hash-start=w-1cd87c94d194af285419eceb558a00fb[[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38.02%낙선
3최석림(崔奭林)6,0523위

ta-hash-start=w-29badebfcb56e531b4e38f81fff9dd20[[파일:국민당(1971년) 흰색 로고타입.svg
12.59%낙선
선거인 수60,413투표율
74.96%
투표 수50,255
무효표 수2,200

2.5. 경상남도 제5선거구 (거제군) [편집]


경상남도 제5선거구
거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학만(李鶴晩)29,1891위

ta-hash-start=w-bd696ff9a19d67e4b02b30d060edbd04[[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96.96%당선
2김봉조(金奉祚)-등록무효

ta-hash-start=w-354ac345fd8c6d7ef634d9a8e3d47b83[[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3윤병한(尹炳漢)5252위

ta-hash-start=w-4aec30307fe530ba9537842b35eb5fa1[[파일:국민당(1971년) 흰색 로고타입.svg
1.74%낙선
4차승훈(車承勳)2574위

파일:대중당 글자.svg

0.85%낙선
5노옥준(盧玉俊)2653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0.30%낙선
선거인 수56,323투표율
73.58%
투표 수44,584
무효표 수14,481

신민당의 김봉조 후보가 후보 등록이 무효 처리 되었고, 이에 따라 절반 가까이 되는 무효표가 나왔다. 공화당의 이학만 후보는 9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2.6. 경상남도 제6선거구 (진해시·창원군)[편집]


경상남도 제6선거구
진해시·창원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하광호(河光浩)48,1922위

ta-hash-start=w-eaa2e3560da230a4ce52f167bd8d98ab[[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47.65%낙선
2황낙주(黃珞周)51,7741위

ta-hash-start=w-af08cd66f82d1b9317433323b7c69320[[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51.20%당선
3최혁(崔爀)1,1553위

ta-hash-start=w-0c0bf917c7942b5a08df71f9da626f97[[파일:국민당(1971년) 흰색 로고타입.svg
1.14%낙선
선거인 수131,169투표율
76.35%
투표 수104,085
무효표 수2,964

2.7. 경상남도 제7선거구 (사천군·삼천포시)[편집]


경상남도 제7선거구
사천군, 삼천포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세경(崔世卿)35,2621위

ta-hash-start=w-691e2d8359bfa30400e4e3598162095c[[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63.67%당선
2최응섭(崔應燮)7,1773위

ta-hash-start=w-6df9168027af4ced3ac509f243c19fc7[[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2.95%낙선
3이재현(李在賢)12,0932위
21.83%낙선
5정종식(鄭鍾植)2645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0.47%낙선
6차병렬(車炳烈)5854위
[include(틀:통일사회당)]1.05%낙선
선거인 수71,570투표율
73.06%
투표 수56,819
무효표 수1,438

2.8. 경상남도 제8선거구 (하동군)[편집]


경상남도 제8선거구
하동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엄기표(嚴基杓)28,3681위
58.58%당선
2문부식(文富植)19,7852위
40.85%낙선
3김기대(金琪大)2733위
0.56%낙선
선거인 수62,087투표율
77%
투표 수50,862
무효표 수2,436

2.9. 경상남도 제9선거구 (함안군·의령군)[편집]


경상남도 제9선거구
함안군·의령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전달수(田達秀)38,7632위
49.38%낙선
2조홍래(趙洪來)39,7281위
50.61%당선
선거인 수99,899투표율
83.26%
투표 수81,698
무효표 수3,207

2.10. 경상남도 제10선거구 (창녕군)[편집]


경상남도 제10선거구
창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성낙현(成樂鉉)23,4402위
42.42%낙선
2김이권(金貳權)25,7711위
46.64%당선
3이한두(李澣斗)6,0433위
10.93%낙선
선거인 수72,626투표율
68.96%
투표 수59,010
무효표 수3,756

2.11. 경상남도 제11선거구 (산청군)[편집]


경상남도 제11선거구
산청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우식(鄭雨湜)24,5351위
62.87%당선
2정영모(鄭永模)13,8742위
35.55%낙선
3도상수(都相洙)1624위
[include(틀:국민당(1971년))]0.41%낙선
4윤원식(尹源植)895위
0.22%낙선
6민석호(閔碩鎬)3643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93%낙선
선거인 수49,656투표율
85.84%
투표 수40,370
무효표 수1,346

2.12. 경상남도 제12선거구 (합천군)[편집]


경상남도 제12선거구
합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해옥(權海玉)24,3242위
40.38%낙선
2이상신(李尙信)34,5351위
57.34%당선
3김우곤(金佑坤)1,3643위
2.26%낙선
선거인 수94,528투표율
70.26%
투표 수62,272
무효표 수2,049

2.13. 경상남도 제13선거구 (밀양군)[편집]



경상남도 제13선거구
밀양군 일원[1]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공정식(孔正植)34,9442위
48.32%낙선
2박일(朴一)37,0281위
51.20%당선
3권태무(權泰武)3383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46%낙선
선거인 수96,115투표율
73.58%
투표 수74,918
무효표 수2,608

2.14. 경상남도 제14선거구 (양산군·동래군)[편집]


경상남도 제14선거구
양산군·동래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노재필(盧載弼)23,3962위
48.12%낙선
2신상우(辛相佑)25,2181위
51.87%당선
선거인 수60,948투표율
78.34%
투표 수50,485
무효표 수1,871

2.15. 경상남도 제15선거구 (울산시·울주군)[편집]


경상남도 제15선거구
울산시, 울주군 일원[2]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원주(朴元柱)36,5892위
37.18%낙선
2최형우(崔炯佑)47,0461위
47.80%당선
3김성탁(金成澤)14,2333위
14.46%낙선
6박태륜(朴泰侖)5424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55%낙선
선거인 수134,935투표율
75.58%
투표 수101,982
무효표 수3,572

2.16. 경상남도 제16선거구 (김해군)[편집]


경상남도 제16선거구
김해군 일원[3]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병(金永昞)40,1781위
55.71%당선
2윤복영(尹福榮)28,1662위
39.05%낙선
3서정원(徐正元)2,9923위
[include(틀:국민당(1971년))]4.14%낙선
4김종태(金鍾泰)3525위
0.48%낙선
6주차도(朱且道)4284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59%낙선
선거인 수102,771투표율
71.84%
투표 수73,830
무효표 수1,714

2.17. 경상남도 제17선거구 (남해군)[편집]


경상남도 제17선거구
남해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동관(申東寬)46,3741위
85.92%당선
2김동재(金東在)5,5022위
10.19%낙선
3하종열(河宗烈)1,7353위
3.21%낙선
6김영수(金榮洙)3574위
[include(틀:통일사회당)]0.66%낙선
선거인 수65,114투표율
84.98%
투표 수55,337
무효표 수1,369

민주공화당의 신동관 후보가 전국 최고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2.18. 경상남도 제18선거구 (거창군·함양군)[편집]


경상남도 제18선거구
거창군, 함양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민병권(閔丙權)52,7611위
58.50%당선
2신중하(愼重夏)34,3602위
38.09%낙선
3이상택(李相澤)8955위
0.99%낙선
5유동근(劉東根)9234위
[include(틀:민중당(1967년))]1.02%낙선
6박동옥(朴東玉)1,2473위
[include(틀:통일사회당)]1.38%낙선
선거인 수113,976투표율
82.06%
투표 수93,528
무효표 수3,342

[1] 지금의 밀양시 일원[2] 지금의 울산광역시 일원[3] 지금의 김해시 전역 + 부산 강서구 일부